*로봇명 클릭시 해당 로봇의 이미지가 펼쳐집니다.
(모바일에서는 안되는거 같음 - 수정 포기)
워킹워로봇을 1~2년 이상 한 분들에 비하면 경력은 많지 않지만 그래도 게임 판수는 꽤 많다.
승률이 50%정도 되니까 대략 2천판 가까이 했다고 볼 수 있겠지. (노리쿰으로 앵벌이를 좀 많이 했...)
앵벌이 안하면 Ag(은화)가 매우 부족하다.
특히 대형무기 업글에는 더 많은 Ag가 필요하기때문에 초반에 전략적으로 잘 이용하여 낭비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난 사고 팔고 사고 팔고 하면서 많이 낭비했...
게임에 막 시작하면 무기나 기체 업글은 그냥 하지 말고
로봇도 사지 않고 1대로 그냥 운용하거나
그리고 매우 중요!
초반에 슬롯은 1개만 확장하자.
Au는 가급적 아끼자.
나는 지금도 인게임에서 로봇 2대 이상 안쓴다.
로봇 슬롯을 최소 4개까지는 보유해야 하지만, 나중에 하자.
시작하고 금방 부숴지는데 1대로 어떻게 하냐고?
전투에서 나오고 다음 게임을 시작하면 된다.
그래도 보상은 100% 다 들어오니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참고로 이기면 50% 더 Ag를 얻을 수 있고, Ag를 획득하는 양은 데미지를 얼마나 넣었느냐에 따라 갈린다.
이긴 팀에서 비콘을 가장 많이 점령한 유저에게는 5Au가 주어진다.
상대 로봇을 몰살시켜서 이기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거의다 비콘 점령을 통해 승리를 획득하니 비콘점령과 데미지를 조화롭게 생각해야한다. 난 데미지 많이 넣었다고 싶으면 비콘 위주로 한다. Au는 소중하니까
레벨이 좀 올라서 구입할 수 있는 로봇의 종류가 많아졌다!
그러면 로봇을 구입해야지.
초반 추천로봇3
가급적 이 3개 중에 1개만 사거나 승리에 대한 욕심이 많으면 2개만 사자.
얘는 하나는 꼭 사자.
나는 노리쿰으로 앵벌이 할 때 이걸로 한다.
(수리비가 적게 들어서 데미지 하나도 못넣어도 이득. 노리쿰인데 데미지 하나도 못넣을 리가 없지)
방패 빼버리고 극초반에 쓰던 로봇 하나 팔고 거기에 달려있는 무기 채워라.
참고로 초반에 접근 가능한 Ag 무기로 Patton에 착용 가능한 무기 중에 좋은거 없다. (무기 및 기체 업글 그냥 하지 말자)
*pinata나 pin은 셋팅에 따라서 극후반에도 쓰이므로 구입해서 업글해서 쓰는 것도 나쁘진 않다.
Golem을 사면 좋은 점이 있다.
대형무장, 일반무장, 경무장 슬롯을 각각 하나씩 보유하여 초반에 탁월한 화력을 자랑한다.
대형무장 슬롯에 Thunder를 장착하고 업글하면 좋다.
Thunder는 Lancelot으로 공격적인 셋팅을 할 때 후반에도 사용되는 만큼 업글에 투자할 가치가 있다.
일반 무장은 초반에 접근하기 좋은 무기가 마땅히 없다고 본다. 그냥 장착되어 있는 무기를 쓰자.
역시 대형무장 슬롯에 Thunder를 착용하여 업글하면 좋다.
초반엔 근접전 하면 녹아버리므로 가급적 Patton하나 사서 Molot이나 Punisher로 통일해서 장착하고 멀리서 싸워라.
Thunder의 딜이 막강하다고는 하나 기체가 너무 약해서 오래 못버틴다.
이상태에서 레벨이 올라서 구입가능한 로봇슬롯이 더 확장되었다면 이제 중후반에 사용할 로봇을 구입해야한다.
이 로봇들은 Au로 구입하는 로봇으로 갈아타기 전까지 사용해야 하므로 오~~~~래 사용하게 될 것이다.
중후반 로봇 추천3
근접전 셋팅으로 좋다.
나는 지금도 Ancile + 3 Magnum으로 사용 중이다.
둘다 워크샵 포인트로 구입하는 장비이므로 초반에 사용할때는 Thunder + 3 Punisher 정도가 괜찮다.
혹은 Thunder + 3 Pinata 정도?
Thunder와 Pinata는 후반에도 쓰이므로 업글해도 괜찮다.
초봇 자체는 시간이 지나면 쓰지 않겠지만, 그래도 오래 사용하므로 1대 정도는 구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기체는 업글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나도 기체는 업글하지 않고 쓰고 있다.
Ag때문이 아니라 그 시간에 무기를 업글하는게 훨씬 이익이라서 그런다. (Ag도 많이 든다)
Griffin은 점프가 가능하고 체력도 준수하고 이속도 준수하여 근거리 중거리 장거리 비콘점령 등에서 모두 탁월하다.
특히 초반 유저에게 Au나 워크샵포인트 장비/로봇으로 무장한 강력한 상대 유저를 근거리에서 싸우기에는 부담된다.
그래서 내 경우 4개 슬롯에 Molot과 Molot Mk2를 셋팅하고 업글하여 사용했는데 장단점이 있는거 같다.
초반 Ag 및 Au벌이에 쏠쏠한데... Molot셋팅은 분명히 한계가 보인다.
내 경우는 Molot이 가장 레벨이 높은데 애물단지다.
Griffin은 후반에도 쓰인다.
2 Taran + 2 Magnum으로 강력한 근접딜 셋팅을 하기도 하며 (Ancile 등의 보호막 셋팅을 녹여버리는데 탁월)
2 Tulumbas + 2 Pinata (또는 Pin) 셋팅으로 강력한 한방딜 셋팅을 하기도 한다. (특히 Au로 구입가능한 방패 3형제 처치에 탁월)
1대는 꼭 구입하기를 바라며 2대까지는 운용해도 나쁘지 않다.
역시 후반에 Au로봇으로 4대 혹은 5대 도배할 예상이라면 기체는 업글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상위 랭커도 Griffin 1대 정도 혹은 그 이상 쓰는 경우가 꽤 있다.
Natasha는 2개의 대형무장 슬롯때문에 설명에도 나와있듯이 위 4대 중에 가장 탁월한 화력을 낼 수 있으며 장거리로 적합하다.
얘 나올때까지 조그만 로봇으로 레벨을 올리느니 Leo랑 Griffin 한대씩 사고 그 두대로 운용하고 말지...
(난 극후반 전에 로봇 3대 운용하는 것도 반대다. Ag 낭비다)
2 Zenit + 2 Noricum으로 잉여짓 하기에도 좋고 (재미는 있는데 팀에 아무런 도움은 안됨, 게다가 파괴되면 수리비...)
2 Kang Dae + 2 Noricum(이 경우 경무장 슬롯은 무의미 해서 Spiral이나 Punisher등으로 접근해 오는 적을 견제하는 셋팅도 나쁘지 않은듯?)으로 한방 화력을 뽐낼 수도 있다.
2 Thunder + 2 Punisher(또는 Magnum)으로 근접전에 막강한 딜을 뽐 낼 수도 있다.
물론 워크샵포인트를 이용해 2 Trebuchet + 2 Gekko를 사용하기도 한다. 꽤나 강력하다.
(근데 Trebuchet하고 Gekko는 사거리만 맞지 서로 성격이 좀 다른거 같은데... 하나는 펑! 쏘고 숨는 용도 하나는 지속딜...)
그냥 Leo랑 Griffin 한대씩 사서 2대만 운용하기를 추천한다.
로봇 2대나 파괴될 정도면 3대 운용한다고 해서 이기기 쉬운 상황도 아니다.
그리고 대형 로봇이 3대씩이나 파괴되면 수리비때문에 수지가 안맞는다.
2대만 운용하고 조작하기 어려운 바쁜 상황에서는 Patton으로 앵벌이하면 Ag를 차곡차곡 모을 수 있을 것이다.
극후반에는 Au로 구입가능한 방패든 3마리 와 Fury(장거리 또는 3 Thunder로 근거리)를 목표로 취향대로 셋팅하면 된다.
이 로봇들은 업글해주자.
장비도 아주 초반부터 접근 가능한 Thunder나 Pinata와 같이 후반에도 쓰이는 무기를 업글하자.
(나는 현질해서라도 Lancelot만 5대 쓸거야! 하는 사람은 Pinata와 같은 경무장 무기는 업글하지 말자)
그리고 워크샵 포인트를 모아서 Magnum(경무장 무기임), Taran(얘는 무조건 쓰인다고 보면 된다.)을 구입하면 업글을 열심히 해주자.
Au1200개를 투자하여 Orkan을 구입해서 미리 업글해두는 것도 시간 절약 측면에선 나쁘지 않다. (근데 하위 티어에서는 유용성이 좀 떨어지는듯)
Taran과 Orkan은 극 후반에도 무조건 쓰인다.
상위 랭커 중에 이거 안쓰는 사람은 없다. 왜냐면 일반무장 슬롯에 이 두개가 최고거든...
현재 Lancelot이 궁극의 로봇인데
Ancile + 2 Taran, Ancile + 2 Orkan, Thunder + 2 Taran 정도를 많이 쓰는듯 하다.
특히 Taran과 Orkan은 다른 방패든 2마리에도 쓰이므로 업글해두면 좋다.
그밖에 비콘 점렴을 위한 빠른 로봇 한대를 스타팅 로봇으로 이용해도 괜찮다.
어차피 그런 로봇들은 수리비가 저렴하므로 빠르게 초반 비콘 2~3개 점렴하고 주력 로봇으로 교체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요새는 귀찮아서 그런짓을 안하지.
마지막으로 게임 플레이에 대한 팁이다.
우선 이길지 질지를 미리 정하고 시작하는게 좋다.
브론즈티어나 실버 낮은 티어에서는 가만히 세워둬도 승률이 50% 정도 나온다.
브론즈티어의 경우는 노리쿰으로 우연히 때리는 딜로도 패배시 순위가 잘 안떨어진다.
그만큼 화력이 낮은 곳이니 제대로 하면 충분히 캐리 할 수 있다.
만약 로봇 2대를 주력으로 운용하는데 둘다 근접셋팅을 했다면 장거리에 유리한 맵은 과감하게 포기하고 Noricum을 장착한 Patton을 들고 나가던지 하는 것이다. (물론 낮은 티어에서는 그런거 없다. 제대로 하면 다 이긴다.)
이게 티어가 올라가면 이기기도 빡세지고 이기더라도 3위 안에 들기도 만만치 않아서 Au벌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장비를 다 구할 때까지는 적당히 낮은 티어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때 주의할 점이 딜을 많이 하고 지면 지더라도 티어가 오른다.
그러므로 지려고 목표한 판에서는 노리쿰으로 대충 쏘면서 실버나 약간 벌고 점수를 확 떨어뜨리는게 좋다.
그리고 이길려고 제대로 한 경기에서는 반드시 이겨주는 것이 좋으며 가급적 딜량 1위 비콘점령 갯수 1위를 하여 10Au를 획득하자.
내가 점령한 비콘을 상대팀이 수복하려고 오면 뒤로 빠지면서 딜을 넣어서 상대가 비콘을 점령 혹은 중립으로 만들 수 있게 해주고 다시 전진을 하자!
상대를 파괴시키고 바로 비콘을 재점령하기 위해서다. 이러면 비콘점령 카운트가 1개 늘어나는데... 초반에 빠른 로봇으로 뛰어다니기 귀찮아서 이런 식으로 많이 한다.
극후반을 고려한 공략 및 팁은 여기를 클릭
극후반을 고려한 공략 및 팁은 여기를 클릭
1 댓글
감사합니당 덕분에 좋은 정보 얻어가요 ㅎㅎ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