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플레이 했던 산소미포함
개발자 모드를 통해 빠르게 구축 해 놓은 기지 상태를 보겠다.
모두 어느정도 연계되어 있다.
1. 천연가스 간헐천을 이용한 발전소
천연가스를 이용한 메탄 발전기가 짱이다.
아래와 같이 설치하였다.
천연가스 간헐천을 단열타일로 둘렀다.
근데 기지가 너무 추워서 금속타일로 둘러도 됐을 뻔 했다.
그리고 그 안에 가스펌프를 설치해서 쭉쭉 빨아들이고 있다.
*가스펌프의 재료는 금아말감으로 선택하자. 과열온도가 +50C가 올라가고 작은 비열로 과열로 인한 피해를 방지 할 수 있다.
(이후 과열이 염려되는 모든 재료는 금아말감 혹은 심석을 이용한다)
메탄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여기서 배출되는 더러운 물을 망사타일을 이용해서 자연히 아랫쪽으로 고이게 만든다.
이산화 탄소는 사진의 중앙의 농장으로 배출된다.
2. 메탄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처리
이산화 탄소는 우측의 추운지역에 만든 농장에서 진눈깨비 밀을 키우는 곳을 배출 시켰다.
대신 그렇게 되면 기압이 너무 높아져서 개발자 모드에서 가능한 "공허" 라는 것을 고압배기구 앞에 1타일 설치하여 기체를 빨아들이고 있다.
*기압의 유지 조절을 위해 사다리나 문을 사용하지 않고 전송관을 이용하였다.
문을 열고 닫을 때 마다 기압이 변해서 기지 내의 기압 자체가 식물재배에 맞는 기압이면 모를까, 보통은 식물 재배에 적합하지 않다.
왜 진눈깨비 밀인가?
비료와 물을 소모하기 때문이다.
특히 비료는 소모를 할 필요가 있다.
3. 메탄 발전기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물의 처리
아래와 같이 액체 펌프로 퍼올려서 정수기로 정수처리 한 후에 기지 중앙에 설치한 조그만 욕조로 배출시킨다.
배출 된 물은 가까운 곳의 화장실, 샤워실, CO2 제거기 그리고 수경타일로 공급된다.
4. 정수기에서 배출된 오염된 흙의 처리
바로 옆에 두엄간을 잔뜩 만들어서 비료로 만든다.
그리고 비료는 옆에 진눈깨비 밀을 기르는데 소모되므로 쌓일 염려가 없다.
이렇게 하면 천연가스를 이용한 발전과 그 배출물들의 처리가 순환되면서 이루어진다.
5. 증기간헐천을 이용한 물과 전기의 공급
아래와 같이 둘렀다.
증기간헐천에는 열 발생이 심한데... 내 기지는 더럽게 추워서 과열되지가 않는다.
그래서 과열에 대한 걱정은 없지만 그래도 액체펌프를 금아말감으로 설치해주었다.
그 안에 설치한 액체관도 심석으로 설치해서 과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였다.
여기서 열심히 펌프질하여서 1차로는 전해조로 물을 공급한다.
전해조에서는 물을 소모하여 산소와 수소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물은 가까운 곳부터 먼 곳에 이르기까지 화장실, 샤워장, 세면대 등에 물을 공급한다.
이곳에서 사용된 오염된 물들은 정수장에서 정화되어 아까 기지 중앙에 작은 수조에 담긴다.
6. 전해조에서 발생된 수소의 처리
수소가 쌓이게 되면 기압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고 또 듀플리칸트들이 호흡하는데 방해 할 수 있다.
수소는 산소보다 가벼우므로 위로 쌓이게 되므로 위쪽을 막아서 수소가 쌓이게 하였다.
쌓인 수소는 가스 펌프로 쭉쭉 팔아들여서 가스필터로 전송한다.
가스필터에서는 수소를 수소 발전기로 전송하고 나머지 공기는 금속타일로 가둬둔 곳 밖으로 배출 시켜버린다.
전해조 타일에서는 외부와의 공기유입이 전혀 없으므로 전해조에서 배출하는 산소와 수소가 전부이다.
따라서 산소를 기지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열을 발생시켜서 차가운 내 기지를 조금이라도 열공급을 하는 역할도 할 것이다.
(내 기지 너무 추운 지역이라 실내 난방기 5개를 켜놔도 따뜻해지지 않는다.)
역시 외부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전송관으로 오갈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여기 위치가 기지에서 꽤 위쪽이라서 사다리 타고 오가게 하기엔 너무 멀다.
7. 중앙 물탱크의 관리
중앙 물탱크를 굳이 만드는 이유는
증기간헐천에서 물을 뽑아쓰지 못 할 때를 대비한 안정적인 물공급
오염된 물을 정수처리한 깨끗한 물을 모아 두어서 계속적인 정수작업의 필요성
(정수된 물을 가까운 화장실과 샤워실 등으로 직접 공급하기도 한다. 너무 여러곳에 공급하면 복잡해지므로 가까운 곳만)
미온수기를 이용한 기지에 열기 공급
그리고 *물병급수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다.
기지 한가운데에 이렇게 저수조를 만들어 놓으면 물이 넘쳐서 기지를 엉망진창으로 만들지 않겠냐는 걱정을 할 수도 있지만
아래 사진처럼 배수구가 물에 잠기면 자동적으로 배출을 멈춘다.
단, 1칸 정도는 낮춰서 설치해야 물탱크라고 만든 곳에서 넘쳐 흐르는 일을 막을 수 있다.
여기저기 설치해두자
이정도 해두면 식량에만 신경 써 주면 나머진 알아서 돌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