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port Fever) 트랜스 포트 피버를 하다 -3

이전에 도시의 건물을 몽땅 부수면 유령도시가 되는 것을 밝혀내었다.

도시를 부수기 이전 시점으로 로딩해서 다시 도시 연결 작업에 착수하였다
(사실 망한거다)


이번엔 적당히 부쉈다.
도시가 발전되면 조금씩 부수면서 도로의 직선화 작업을 할 예정이다.



인천시와 의왕시를 철도로 연결해주었다.




인천시에도 내부 순환 버스노선을 설정하고 버스를 다니게 하였다.
노코스트 모드이므로 손님 없이 운행해도 적자 따위는 없다.


현재 시점에서의 도시 인구 상황
인구가 늘어감에 따라 화물의 필요량도 늘어나고 있다.
인구가 어느정도 늘어나면 화물을 연결해주자.


구리시와 연결하려는 천안시의 상황
아무것도 안했는데 도시가 꽤 크다.
위치상 남쪽 도시의 허브가 될 예정이다.

아래의 스샷은 버스정류장을 지을때 주의할 점을 비교해 놓았다.


버스 정류장과 도로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정류장의 영향력의 범위가 효과치가 증가된다.
동그라미를 보면 하얗게 변한 영향력이 아랫쪽이 더 진한 것을 볼 수 있다.



천안시와 구리시가 이어지는 도로도 직선화 시켜준다.
향후 철로를 지을 때 방해될 수 있으니 도로는 가급적 땅굴이나 고가도로로 지어준다.


포천시와 천안시도 이어준다.
여긴 주거지가 바깥쪽에 몰려있으니 걍 부수지 않고 열차역을 지어줬다.



귀찮음도 한몫했다.


철로를 연결하기 위해 도로를 부쉈더니 속초시와 포천시의 연결이 끊어졌다고 깜빡거린다.



눈에 거슬리니까 연결해주자.


천안시는 구리시와 포천시와 연결되었다.
이제 도로를 정비해주자.


직선화 작업
귀찮으니까 적당히만 하자.



철로로 끊어진 도시의 도로는 땅굴로 연결해주자.


내부 순환버스도 활성화 해주고


포천시도 내부순환 버스를 활성화 해주었다.


이 시점에서 열차로 연결된 도시의 상황
포천시는 건물을 안부수고 연결했더니 성장이 좀 빠르다.

자~ 이런 추세면 화물을 연결해도 수요가 부족해지지는 않을 것 같다.


2개의 라인이 연결된 구리시 승강장의 상황
노코스트 모드가 아니라면 이러한 승객 수요에 맞는 열차길이를 설정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나는 노코스트 모드이므로 그냥 길~게 운영한다.

의왕시의 내부순환 노선을 점검해보았다.
UIwang sidings 정류장으로 방금 버스가 지나갔는데 승객을 9명만 태우고 15명은 태우지 않았다.
이유는 내가 설정한 노선때문이다.
a - b - a - c - a - d - a 식으로 순환하게 설정을 해두었다.
이 경우 a에서 d를 가려는 승객은 a에서 b로 가는 버스를 타지 않는다.
b찍고 다시 a찍고 다시 c찍고 다시 a로 오면 그때 승차해서 다음 목적지인 d에서 하차한다.
실제 승객들의 패턴과 유사하게 만들어두었다.

승객이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의왕시 내부 순환 버스를 1대만 운용하다가 2대로 늘려주었다.
구리시도 점검해보니 상황은 비슷하여 1대를 추가로 운용시켰다.
난 노코스트 모드에서는 관대하니까.



싹 다 밀어버리고 바둑판식으로 도로를 건설해 둔 구리시에 사람들이 살고 집값도 많이 오르기 시작했다.
구리시의 인구도 1,000명이 넘어가고 있다.​


인천시 역시 이번엔 직선화 도로에 잘 적응하며 상가와 거주지가 들어서고 있다.

이제 화물수요가 충분하니 다음 번에는 화물을 연결해보려고 한다.


대략 이런식으로 연결을 할 것이다.
빨간 선은 열차로 연결할 것이고 파란선은 트럭으로 연결할 것이다.

화물열차를 이용하여 원유를 정유공장으로 보내서 연료를 생산한다.
그리고 생산된 연료는 트럭을 이용해 가까운 의왕시와 서귀포시로 보낸다.
또한 열차를 이용해서 구리시와 천안시에 각각 보낸다.
천안시에 운송된 연로는 천안시 내부적으로도 소모하고 포천시 등의 근처의 도시로 트럭을 이용해 운송할 예정이다.
지도의 위쪽에 정유공장이 없는 경우는 가장 접근성이 좋은 도시로 직접 수송을 하거나 천안시에서 연료를 환승하도록 설정하면 모든 도시에 연료 공급이 가능해진다. (생산량이 충분할 경우... 하지만 지금 모드에서는 생산량은 충분하다.)
마찬가지로 열차를 이용해 구리시로 운송된 연료는 트럭을 이용해 인천시 등의 지도 남쪽의 도시로 공급할 예정이다.

아무리 인구가 몇천이 넘어가도 공장 한군데서 생산하는 화물을 모두 소비하기에는 필요량이 충분치 않다.
노코스트 모드가 아닐 경우 수입이 떨어지거나 적자를 보기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도시로 환승을 하거나 라인을 더 설정할 필요가 있다.

댓글 쓰기

0 댓글